2019 - 1
호모커넥투스 : 5G시대 새로운 위기와 기회
2019 스마트클라우드쇼 강연자 기사, 인터뷰 등 관련 자료들을 모았습니다.
*모든 영상과 자료는 유료 회원들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반 회원의 경우 영상 클릭시 자료를 볼 수 없고, 관리자에게 Access 요청 하는 메세지가 보일 것입니다. 영상과 자료보기를 원하시는 분은 멤버쉽신청 메뉴에서 등록 및 결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대담
모빌리티 산업
1.모빌리티 산업이 새로운 개념은 아니지만 최근 산업에서 주목받고 있는 이유
"세계적으로 공간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데 새로운 기술로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스마트폰이 생기면서 이를 더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라며 "이렇게 되면서 이제는 이동수단을 소유한다는 개념에서 서비스를 이용한다는 개념
"하지만 4차산업의 핵심기술인 IT 기술이 발전하면서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방식이 점차 스마트하게 바뀌고 있어 각광받고 있다고 본다"
2. 모빌리티의 정의
"모빌리티는 넓은 정의를 가질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어떤 방식으로든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이동하는 것을 모빌리티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모빌리티의 개념은 사람이나 물건을 이동시킨다는 수동적인 의미에서 스스로 이동한다는 능동적인 개념으로 바뀌고 있다는 것이 핵심"
특별강연1: 엣지 컴퓨팅
"미래엔 데이터 처리 속도가 '생사' 가른다"
"차량을 몰 때 ‘좌회전이냐, 우회전이냐’ 같은 실시간 의사결정은 생사를 좌우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아카마이는 이런 곳에서 생기는 지연을 최소화하는 게 목표입니다.
"향후에는 5G(5세대) 이동통신 등으로 모빌리티나 수십억개에 달하는 디바이스가 온라인으로 연결된다"
이것을 해결하는 기술로 ‘에지’를 강조했다. 에지는 인터넷을 거쳐가는 방대한 데이터의 체증을 완화하는 게 목표
"에지는 최말단에서 데이터를 저장해놨다가 디바이스에게 바로 데이터를 보내 지연을 줄인다"
기조연설2: 구독경제
음악 구독 플랫폼이 나아가야 할 방향
"저희는 단순히 음악을 제공하는 게 아닙니다. 아티스트와 팬들을 연결하고 소통하게 하는 음악 플랫폼으로 성장하는 게 목표입니다."
"플로는 곡 단위가 아닌 이용자 개인취향에 맞춘 플레이리스트 단위를 제공했다. 고객의 취향을 읽고자 했다"
"아티스트가 직접 추천하고 친필로 쓴 추천곡이나 아티스트 모습이 담긴 포토카드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내놨다"
"디지털 광고 집행시 클릭률이 다른 광고보다 200% 높게 나타날 정도로 반응이 좋았다. 팬들도 이런 독점적 콘텐츠를 온라인에서 퍼나르며 공유를 했고 큰 화제가 됐다"
대담
넷플릭스 퍼블리 FLO의 구독 사업 모델 전략
1. 전통적 구독 경제와 최신 구독사업 모델의 차이점
"과거 구독경제와의 큰 차이는 현재 서비스들은 (불특정 대다수) 고객들을 세부적으로 이해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
2.구독 사업의 성공을 위해 빅데이터 수집 및 AI 분석 외 중요한 점
"넷플릭스의 큰 강점은 로컬 창작자들과 협업해 콘텐츠를 생산해 제공하는 것"
3.국내 언론이 나아가야 할 구독 모델에 대한 조언
"뉴스도 콘텐츠 제공 방식을 차별화하고 개인화된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를 함께 제공한다면 독자들도 유료 구독의사가 생길 것"
"결국 조직의 의사결정권자가 독자들의 성향을 얼마나 잘 이해하는지 중요하다"
세션1: All@Cloud (AI,금융, MEC)
대부분 기업이 헤매는 디지털전환, '클라우드'와 'AI'가 키
"기업들의 미래는 디지털 전환을 잘 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으로 나뉠 것입니다. 지금부터 시작해야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비즈니스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비용을 줄이면서 생산적 혁신을 통해 원가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많은 기업들의 고민일 것"
"이런 고민은 디지털 전환을 통해 해결될 수 있다"
"삼성SDS는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대화형 업무 자동화 솔루션 ‘브리티 웍스(Brity Works)’를 실제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세션1: All@Cloud (AI,금융, MEC)
“5G 네트워크 및 MEC(모바일 엣지 컴퓨팅) 전략 ”
"내년 28GHz 대역 5G가 시작되면 10배 더 빠른 5G가 가능하다"
"이를 뒷받침 하는 기술들이 MEC, SDN(소프트웨어정의네트워크)/NFV(네트워크기능가상화) 등"
SA 활용 시 MEC 기술과 연계해 고객에게 대용량 서비스를 원활히 제공
"SK텔레콤은 앞으로 실시간 AI 추론 서비스, 양자암호통신, 클라우드 로봇 등 MEC 기반의 혁신적인 5G 특화 서비스와 개발환경을 제공할 것"
세션2: 공유경제 앎
‘플랫폼 경제와 노동의 미래’
플랫폼 노동자들을 위한 제도 개선의 필요성
"플랫폼 노동자가 확산되면 여러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며 "휴가가 없을 수도 있고, 24시간 야간 근무를 해도 보상이 다르고, 다쳐도 치료비를 못 받을 수도 있다. 이런 점들이 고려돼야 한다"
"플랫폼 노동자를 등한시 해 플랫폼 서비스의 질이 떨어지면 결국 망하기 때문에 이를 방치할 수 있는 기업은 없다"
"다만, 근로지시 형태나 노동자가 다쳤을 때 고용주의 책임을 어디까지 볼 것인지가 필요하다. 또 혁신을 위해 노력하는 플랫폼 사업자들을 법의 빈틈을 악용하는 악덕 기업으로만 보는 시각도 바뀌어야 한다"
플랫폼 노동자들은 자영업자와 회사에서 일하는 임금 근로자 사이에 있기 때문에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
(1/2)